갯녹음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시행하는 수해양학적 정책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다숲 복원사업이다. 이 사업은 해조류 군락지의 복원을 통해 연안의 어패류 자원을 조성하고, 이를 자율적으로 관리하면서 어민들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바다숲 복원사업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 등에서도 섭식압을 줄이기 위해 초식동물의 밀도나 풍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한다거나 생태학적으로 천적관계에 있는 동물들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바다숲을 복원하고 있으며, 지금도 이와 같은 응용생태학적 연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갯녹음은 동해안과 제주도에서 확대되고 있으며 그 피해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해역별 발생 면적은 △강원 929ha △경북 1311ha △경남 173ha △제주 4640ha로 총 7053ha에 이르며 특히 제주도 연안의 갯녹음 확산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된다. 제주해역의 경우 초기 수심 8m까지만 나타나던 갯녹음이 최근에는 수심 15m까지 확산되고 있다. 강원도와 경북연안의 경우 방파제나 연안 암반해역에서 나타나며, 제주도와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수심 7~10m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다가 최근 수심 15m까지 확산된 상태다.

이에 정부는 △생태계 복원 △새로운 산업육성을 통한 고용 창출 △해조류에 의한 CO₂저감을 통해 지구온난화방지에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바다숲 복원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100억원을 시작으로 오는 2010년에서 2012년까지 약 650억원, 2013년부터 2021년까지 236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우선 갯녹음 현상이 심한 동해와 제주도 연안에 7000ha의 바다숲을 조성하고 장기적으로는 전 연안역에 바다숲을 벨트화해 기후변화 대응은 물론 신재생 바이오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복원사업은 국립수산과학원이 주관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산하 동해수산연구소는 해양심층수를 활용해 해조류를 복원하는 사업을 실시했다. 심층수는 미네랄 등 영양염류가 풍부해 해조류 성장을 촉진하며 온도가 낮아 바다숲 복원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한국해양연구원 산하 해양심층수연구센터도 심층수를 배출시켜 갯녹음 현상을 막고 바다숲을 조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갯녹음 확산이 심각한 제주해역의 경우 국립수산과학원 산하 제주수산연구소에서 지난 2004년부터 지역별로 연안에 감태와 모자반 등을 이식해 서식장을 조성하고 있다.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등 바다숲 복원에 필요한 인공 서식기반을 마련한 후 대상종의 종묘를 생산해 이식하는 것이다. 올해부턴 정부의 지원으로 사업이 더 확대돼 제주 전 지역에 바다숲을 조성할 예정이다.

한편,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갯녹음 해결에 나선 사례도 있다. 전라남도에서는 지난 2월 여수시 삼산면 해역 일부에서 백화현상이 발견된 후 5억 원을 투입해 5ha크기의 바다숲을 조성 중이며, 전남지역 전 해역에 대해 백화수역을 조사하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바다숲 복원의 경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국립수산과학원 자원회복사업단 김영대 박사는 “갯녹음 현상은 이미 수십 년 동안 진행된 뒤에 드러난 것이라 당장 치유되기 어렵다”며 “산불 등의 재앙이 없는 한 훼손되지 않는 일반 숲과는 달리 바다숲을 구성하는 해조류는 조식동물의 먹이가 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