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선 지난 2007년 7월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시행되면서 정부주도로 사회적 기업이 육성되기 시작했다. ‘사회적 기업’이란 용어도 노동부의 인증에 의해서만 쓸 수 있고, 행정 기준에 따라 문화예술계 부문을 포함해 총 9개 범주로 사회적 기업을 분류한다. 이 기준에 따라 우리나라엔 현재 총 251개의 사회적 기업이 있으며 이 중 12개가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으로 구분된다.

이에 반해 사회적 기업 역사가 오래된 유럽 사회의 경우 시민조직 중심으로 운영돼 왔다.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분류체계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협동조합 또는 시민결사체 등  시민문화가 자율적으로 성장하면서 사회적 기업이 형성됐다. 협동조합의 역사가 오래된 영국의 경우 현재 5만 5000개 이상의 사회적 기업이 있다고 보고된다. 이는 전체 근로자 고용 사업체의 약 5%에 해당된다. 영국 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은 우리나라 정부가 사회적 기업에 제공하는 △세금지원 △재정지원 △우선구매 지위 부여 등의 직접적 지원방식과 달리 정부 조달과 관련된 정보를 정리해 제공하는 등 간접적 지원을 수행한다. 

시민문화를 기초로 한 자생적인 사회적 기업의 발전은 문화예술 사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으로 프랑스의 문화예술계 사회적 기업은 지역주민의 신뢰를 토대로 문화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해 사업진행이 빠르고 네트워크가 잘 형성됐다는 평을 받는다. 서울문화재단 비전정책팀 차민태 씨는 “프랑스는 공익협동조합인 SCIC(Societe Cooperative d'interet Collectif)의 형태로 운영되는 사회적 기업이 많다”며 “SCIC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기회를 늘리고 지역 밀착형 활동으로 참여자 간의 공동이익을 증진시켜 신뢰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비영리민간단체인 NPO(Non-Profit Organizations) 제도가 발달된 일본도 시민조직의 자유로운 활동으로 공공 미술분야가 발전한 사례가 많다. 그 예로 요코하마의 도시디자인 사업은 문화예술계 NPO의 활발한 참여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요코하마의 사회적 기업 ‘코토 라보’는 쓰레기와 폐차로 가득했던 일용직 노동자들의 집성촌 코토부키 지역에 공공 디자인 사업을 시작으로 △빈 방들을 활용한 호텔 사업 △지역민의 투표율을 높이는 공공미술 캠페인 △마을 사람들의 교류 공간을 조성하는 ‘1평 평상 프로젝트’ 등을 벌여 그 지역을 관광객이 찾아오는 마을로 바꿨다.

우리나라 문화예술계 사회적 기업도 관중심 운영에서 점차 지역시민의 자발성에 기초한 문화예술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차 씨는 “재단이나 정부의 직접 지원보다 기획자와 시민들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계 사회적 기업이 성장해나가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