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이 가져야 할 진정한 고민이 사라져버렸다”

상업적 연극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해 한국 소극장 운동의 메카를 이뤘던 대학로. 1970~80년대 대학로의 소극장은 대학을 배경에 둔 동인제 극단을 중심으로 실험적 작품과 사회성 있는 작품을 선보였다. 그러나 1990년대 초부터 대학로의 소극장은 대형 기획사 중심의 프로젝트팀으로 옮겨가며 상업주의적 성격으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연극가의 상업적 시스템의 대안으로 전국 소극장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시작한 극단 새벽의 상임연출가 이성민 씨를 지난 7일(수) 대학로 소극장 ‘축제’에서 만났다.

(사진=한상우 기자)
이성민 씨는 연극의 상업주의가 흥행성 위주의 가벼운 소재로 사회적 의제를 가린다고 지적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고민이 많아지면 일시적으로 그 고민들에서 벗어나고 싶어 해요. 사회문제에 반항하고 새로운 실험을 해야 할 대학생들도 그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소비문화적인 것을 찾고 있죠. 그러나 일시적으로 잊는 것과 지속적으로 잊게 되는 것은 달라요. 한번 보고 웃을 수 있는 작품과 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고민하는 작품이 어우러져 있어야 바람직한데 지금의 극장엔 80% 이상이 눈요깃거리 공연으로 구성돼 있어요”

볼거리 위주로 편중된 연극문화의 원인은 프로젝트팀 위주의 작업구조에 있다. 현재 대학로를 포함한 전국의 소극장 대부분은 대형 기획사가 돈 될 만한 작품을 판단해 △극작 △연출 △스텝 △배우를 모으고 전국 극장의 공연을 점유해 사고파는 유통방식으로 구성돼 있다. 이 씨는 프로젝트팀이 1회로 그치는 데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나의 공연을 위해 일시적으로 연출가와 극작가, 스텝과 배우가 모인 프로젝트팀의 경우 공연이 끝나면 바로 해체되죠. 연극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고민도 할 수 없고, 축적되고 전문화된 작품도 나올 수가 없는 구조예요. 돈 되는 작품을 고민하다보니 관객의 감각을 읽는데서 출발하고, 감각적인 것을 만족시켜주려 하는 순간 연극의 사회적 가치를 포기하는 거예요. 동인제 극단이 △극작가 △연출가 △연기자 △스텝이 함께 생활하면서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연극의 가치를 고민하며 극단의 활동을 축적하고 전문성을 강화시켜나가는 것과 상반되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가 속한 극단 새벽은 소극장 운동의 하나로 소극장 네트워크 운동을 시작했다. 소극장 네트워크는 각 지역 극단들이 극단 전용의 소극장을 거점으로 작품을 공유하는 운동이다. 부산에선 지난해부터 소극장운동협의회를 발족해 6개의 극단이 각각의 전용소극장에서 작품성과 대중성이 인증된 서로의 작품을 공연하며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예술작품을 소비재로 보지 않게 하려면 연극인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해요. 소극장들이 전국적으로 네트워크를 이뤄 소통하다보면 지역의 의미 있는 창작극을 지켜낼 수 있다고 생각해요. 연극의 상업주의화에 대항해 실험적인 작업 형태의 작품을 유지하는 동시에 창작극을 대중화시키고 양성하는데도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죠”

극단 새벽은 소극장 네트워크로 공연되는 작품에 레퍼토리 시스템을 사용한다. 레퍼토리 시스템이란 긴 생명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공연하는 기획방법으로 특정작가의 작품세계나 하나의 연극양식을 대중적으로 심화시키는 시스템이다. 이 씨는 한편의 공연작품을 대중화시키기 위해 스타가 아닌 ‘작품’ 자체에 의지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레퍼토리 시스템은 보존가치가 대중적으로 검증된 공연작품을 질적으로 심화시키고 양식실험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획방법이기도 하죠”

(사진= 한상우 기자)

그 선발주자로 지난 8일(목)부터 다음달 1일(일)까지 대학로 소극장 ‘축제’에서 극단 새벽의 레퍼토리 작품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가 공연된다. “이번 서울 공연은 25년간 동인제 집단을 유지하면서 소통하고 축적해 온 작업의 연장선 상에서 진행된다는 데 의의가 있어요. 공연하는 동안 소극장 운동을 고민하는 연극인들의 연결점이 돼 붕괴된 연극의 동인성을 어떻게 회복시켜야 할지, 소극장 운동이 왜 필요한지, 개별적으로 파편화된 연극인들이 어떻게 소통할 수 있을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그는 연극계가 ‘연극을 이해하고 보는 관객’을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관객을 훈련시킬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관객도 훈련이 필요해요. 현재 관객들은 연극을 선택할 때 연극이 무슨 이야기를 할까를 고민하기보다 주제가 무거울까 가벼울까를 고민하고 있어요. 환상의 이야기를 쫓아가다보면 그 순간은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마음의 위안이 되겠지만 어떤 정신적인 가치로 남을지 그건 모르겠어요. 가치라는 게 뭔지, 존재라는 게 뭔지, 연극이 무엇을 담아야 하는지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해요”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