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기를 맞아 발행된 <고대신문> 지난 호에서는 방학 기간 동안 전면 실시된 중앙도서관의 리모델링, 안암캠퍼스의 셔틀버스 운행시간 변경 등과 같이 학우들이 잘 숙지하지 않을 경우 자칫 낭패를 볼 수도 있는 중요한 학내 정보를 다루었다. 또한 정년퇴임하는 본교 교수 10명 가운데 세 명을 선정해 진행한 특별인터뷰는 한정된 지면 사정상 10명 모두의 인터뷰를 실을 수 없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분량과 내용면에서 적절한 안배가 이루어졌다고 여겨진다.

앞서 언급한 사항들은 학우들에게 유익한 정보이기에 눈여겨봐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고대신문> 지난 호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기사 자체로서도 중요성이 높지만 그에 대한 심도 있는 후속보도 기사가 강하게 요구되는 내용이 여럿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서 우선 신광연립 관련 기사를 들 수 있다. <고대신문>에서는 본교 법학전문대학원 기숙사 신축과 이로 인한 법대후문 신광연립 주민의 강제퇴거 논란을 1641호와 1643호에서 잇달아 다루었고, 지난 호에서는 2면과 6면에 각각 사진과 독자투고를 통하여 신광연립 관련 소식을 게재했다. <고대신문>이 나서서 여론을 환기하지 않았다면 본교와 신광연립 주민에 대한 뉴스는 학우들로부터 외면당했을 것이다.

신광연립 관련 기사와 비슷한 맥락에서, 2면에 실린 본교 정문 앞 재개발과 관련된 기사도 빠뜨려서는 안 될 중요한 소식이다. 정문 앞 재개발로 인해 영향을 받는 학우 및 소상공인, 재개발업자 각자의 이익을 가급적 균형 있게 보장하면서 모두가 상생하기 위해서는 각 당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할 <고대신문>의 끊임없는 후속보도 기사가 절실하다.

한편 이번 학기부터 신설된 ‘고대의 역사, 전통과 미래’ 강의(이하 ‘고대학 강의’라 표기함)를 2면에 소개하면서 이에 대한 논란을 다룬 점 역시 특기할 만하다. 이 기사에서는 고대학 강의 개설의 취지가 고대정신을 이해하고 고대인의 정체성을 자각하기 위한 것이라는 본교 당국의 설명과, 고대학 강의의 개설로 인해 학벌주의가 조장될 우려가 있다는 일부 언론의 비판 및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이 아니냐는 의문이 서로 맞섰다. 양측의 입장 중 어느 쪽이 옳고 그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개강에서부터 종강에 이르기까지 한 학기 동안 진행되는 고대학 강의를 면밀하게 조사,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고대학 강의 소식이 일회성 기사로 그치지 않도록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추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매체가 바로 <고대신문>이라 생각한다.

신광연립 관련 기사, 정문 앞 재개발 관련 기사, 고대학 강의 관련 기사는 그 자체로 이미 학우들과 여타 언론이 큰 관심을 가지는 기삿거리이다. 그렇지만 <고대신문>이 이러한 기삿거리에 대해 보다 자세하면서도 알찬 후속보도 기사를 이어준다면, 각 기사들은 더욱 큰 파급력을 지니고서 해당 문제를 원활하고 간명하게 해결하는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위 세 가지 기사와 관련된 문제가 바람직하게 풀릴 때까지 <고대신문>의 심층적인 후속보도 기사가 계속되기를 희망한다.

                                                                                                                           우상훈(법과대 법학08)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