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 역기능이 지역할당제를 도입한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고쳐지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조치는 입시의 방법을 다양화하는 등 기능적인 면에 치우쳤던 저간의 방식에 비하면 그나마 모순점을 전체의 구도에서 바라보고 접근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지역할당제를 시작으로 서울대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산적해 있다. 
 

 
우선 서울대는 교수·학생회, 교육시민단체 등의 대표로 구성된 ‘입시전형위원회’를 민주적으로 설치·운영하여 차제에 입학사정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세워 제시해야 한다. 만약 기존의 고교장추천제처럼 추상적인 기준을 던져주고 누가 지명되어야 할지는 학교에서 정하라고 하면 필연적으로 성적 우위의 원칙에 따라 시골 학교는 당장 가공할 공부 경쟁에 무한정 돌입하게 되어 지역할당제가 트로이의 목마로 둔갑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근본적인 해법을 위해서는 교육부와 서울대가 전체적으로 입시와 교육과정을 전공별 특기적성 위주로 과감하게 개편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 수능과 내신의 반영을 완전히 자율화하고, 그에 걸맞게 초중고가 전인교육을 실시하게 되는 방안을 종합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그래야만 초중고의 전인교육에 의해 좋은 학생이 길러지고 그렇게 길러진 학생을 대학들이 큰 갈등 없이 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모처럼의 호기를 슬기롭게 활용하는 혜안을 가졌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