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포렌식을 활용하는 곳이 수사기관에서 민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화된 자료를 점검해야하는 관세청, 저작권위원회, 감사원뿐만 아니라 로펌, 회계법인, 기업과 같은 민간에서도 정보보안, 소송지원에서 디지털 포렌식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삼성과 LG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유출 사건이 대표적으로 두 기업은 디지털 포렌식을 활용해 증거를 수집하고 관련 변호사의 자문을 구하고 있다.
디지털 포렌식의 활용 증가에 따라 기업이 당면한 문제를 전문적으로 해결해 줄 민간 디지털 포렌식센터도 생겨났다. 더존정보보호서비스에서는 2008년 국내 최초로 민간 디지털 포렌식센터를 설립했다. 김종현 더존포렌식센터장은 “기업이 충분한 증빙자료나 준비 없이 수사기관에 직접의뢰하게 되면 증거 불충분으로 수사가 시작되지 않을 수도 있다”며 “전문 기업의 컨설팅을 통해 증거능력과 증명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료를 수사기관에 제출하면 수사가 빨리 진행되고 나아가 재판에서 승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또한 민간 디지털포렌식 센터에서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도 함께 실시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발맞춰 2010년 디지털 포렌식전문가 인증시험도 등장했다. 한국포렌식학회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포렌식전문가 시험제도는 민간자격국가공인 신청을 한 상태이며 현장실사까지 마쳤다. 한국포렌식학회 문대성 간사는 “대검찰청 등 국가기관이 주도적으로 자격제도를 운영할 수도 있지만 공적 조사업무 교육에 한정될 수 있다”며 “디지털 포렌식 분야는 기업은 물론 법무법인, 변호사 등에서도 새로운 직업영역으로 관심을 갖고 있어 민간에서 자격제도를 운영해 고용창출, 인재양성 및 재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 포렌식전문가 인증시험은 매회 80여명이 응시해 현재까지 300여명이 응시했다.

본교는 2011년 국내최초로 디지털 포렌식 기술을 비롯해 고급 정보보호 이론과 기술을 교육하는 사이버국방학과를 신설했다. 임종인 정보보호대학원장은 “단순한 컴퓨터 전문가가 아닌 사이버국방을 수호하는 전문장교를 육성하는 것이 목표”라며 “디지털포렌식은 과학기술만이 아니라 디지털 법률도 함께 배워야하는 법과 기술이 융합된 학문이기 때문에 앞으로 교내에서도 법학전문대학원과 정보보호대학원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IDC의 ‘Worldwide Legal Discovery Infrastructure Revenue 2005~2013’에서는 디지털 포렌식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시장의 국내 규모가 전 세계시장의 1.5%수준으로 2014년 1201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직까지는 디지털 포렌식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낮지만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며 형사소송은 물론 민사, 가사 소송에서 현실적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김종현 더존포렌식센터장은 “실제로 개인적인 디지털 포렌식 컨설팅 문의가 오는 경우도 있다”며 “아직 여러 면에서 개인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준은 아니지만 추후 시장 규모는 계속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