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터넷신문은 전 세계 최초, 최고 등의 수식어를 단 다양한 실험들 속에서 성장해 왔다. ‘시민이 기자’라는 슬로건으로 시작한 시민기자는 ‘정보 생산’이라는 기자 특권을 시민들과 나누는 계기됐다. 또 과거 ‘논객’이라는 이름의 정치 평론가들은 정치를 고준담론에서 생활담론으로 격하시키며 정치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하기도 했다.

2002년 대선 이후 우리나라 인터넷신문은 처음 중흥기를 맞았다. 노무현 바람몰이에 인터넷신문이 일조했다는 평가 때문이다. 이때부터 기존 언론사 인터넷판, 소위 신문사 닷컴사들도 인터넷공간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게 된다. 경제신문사 닷컴들은 인터넷 주도권 확보를 위해 연예나 가십 기사들을 대량유포하기 시작했고,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동아닷컴 등도 이 경쟁에 뛰어들었다. 인터넷기사와 인터넷정보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이면의 그늘도 있었다. 낚시 기사들이 쏟아지면서 인터넷신문의 신뢰도가 급격히 추락했다.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은 우파 매체들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또 초기 폐쇄적 언론 지형을 참여형, 개방형으로 만든 인터넷신문 가운데 상당수는 역사의 뒤안길로 내몰리게 됐고, 남은 인터넷신문은 경영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신문의 성과는 있었다. 지역 소식을 전하는 지역 인터넷신문과 전문지를 비롯해 아직도 더 개방적인, 더 창의적인 인터넷신문을 추구하며 많은 실험을 거듭하는 매체들이 있다.

1998년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 생겨난 인터넷신문은 10여 년이 지난 현재 가장 직접적인 위기를 맞았다. 정부가 인터넷신문사의 수가 많다며 취재인원 수가 적은 인터넷신문을 퇴출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신문법 시행령을 고시했기 때문이다. 내년 11월 18일이면 정부가 정한 기준에 부합하지 못한 많은 수의 인터넷신문이 등록 취소된다. 인터넷신문사가 난립하면서 선정적 기사, 어뷰징, 광고협박 등이 이어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부가 고시한 기준, 즉 상시 고용된 취재인력 5명을 보유하지 못해 퇴출 위기에 몰린 인터넷신문사들은 억울하다. 선정적 기사, 어뷰징은 작인 인터넷 매체가 아니라, 대형 언론사들이 포털 검색결과를 독점하기 위해 경쟁하다 생겨난 문제이기 때문이다. 또 기업에 광고를 달라고 협박하는 일은 작은 인터넷신문이 아니라, 일정한 규모 이상의 매체만이 할 수 있다.

인터넷뉴스의 선정성과 어뷰징 기사 등을 개선하고 인터넷 뉴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규모 언론사의 뉴스 콘텐츠에 대한 감시가 강화돼야 한다. 신문협회는 신문위원회를 두고, 자율적 심의를 행하고 있다. 또 인터넷신문협회 역시 인터넷신문의 자율심의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심의는 그동안 뉴스 질의 제고에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매체를 경영하는 사업자들의 단체가 하는 자율심의는 그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이다.

매체 감시 주체가 시민이고, 독자여야 진정한 의미의 심의가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터넷 뉴스 질 제고를 위해서는 현행 신문법에서 권고하고는 있지만, 거의 모든 신문에서 시행하지 않거나, 형식적으로만 운영하는 독자권익위원회, 옴부즈맨 제도가 활성화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법 제도의 정비가 시급하다.

이와 함께 언론시민단체의 적극적인 활동 역시 필요하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언론개혁시민연대, 민주언론시민연합과 같은 언론단체의 활동이 많이 위축됐다. 이들 언론시민단체가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매체 감시를 할 수 있도록 시민 스스로의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가 매체를 지원할 때, 콘텐츠의 질을 평가해 일정수준 이상만 지원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 정부는 언론진흥재단을 통해 정부 광고를 집행하고, 매체별 지원을 하고 있다. 정부 광고를 집행하고, 매체를 지원하는 데 편향성이 지적돼왔다. 정부 편향적인, 소위 우파매체에만 집중 지원됐다는 비판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언론재단 내에 뉴스 콘텐츠의 질을 평가하는 기관을 두고, 뉴스 질을 중심으로 매체를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사무총장 도형래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