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거래정보를 중앙 서버가 아닌 P2P(Peer-to-Peer) 네트워크에 분산시켜 참가자 모두가 이를 기록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각각의 거래 정보들은 블록형식으로 쌓이게 되며, 이 정보들은 암호화돼 참가자의 컴퓨터로 다시 분산된다. 공격해야 할 명확한 주체가 존재하지 않기에 해킹이 어렵고, 거래기록이 모두 저장되어 관리와 추적에 용이하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특징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지만, 실제 이용을 하기 위해선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분산돼 저장되는 정보들
  ‘분산 저장과 거래의 투명성’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뿐만 아니라 기록, 관리, 증명과 관련된 모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신의 소유증명서를 하나의 해시값(Hash값, 복사된 디지털 증거의 동일성을 입증하기 위해 파일의 특성을 축약한 암호)으로 블록체인에 올린다고 가정해보자. 소유증명서의 해시값은 참여하는 모든 컴퓨터에 분산되어 기록된다. 나중에 소유증명서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때는 자신의 해시값과 분산되어 저장된 나머지 해시값들의 일치 여부를 따진다. 실제로 남미 국가인 온두라스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부동산 등기 시스템 구축에 나섰고, 에스토니아에서도 블록체인과 연계한 전자시민권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공유경제 개념에도 적용할 수 있다. 현재는 우버를 비롯한 공유경제 기업을 통해 자신의 집과 차량을 공유하고 그에 대한 사용료를 받는다. 기업은 이 둘을 이어주는 중개인 역할로 수수료를 챙긴다. 하지만 블록체인에 자신의 차량이나 집을 연동시켜놓으면 중개 기업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사용자 간 거래가 가능해진다. 백승은 LG CNS 컨설팅 위원은 “블록체인은 가치(value)에 대해 사람이나 기관이 관여하지 않고 정산할 수 있는 구조”라며 “예를 들어 내 차를 블록체인에 등록해 놓으면 사물 스스로가 이용자와 비용을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발생할 문제에 대한 고민 필요해
  현재 블록체인의 응용부문은 연구개발 단계다. 전문가들은 블록체인의 인증 기술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다른 분야에 적용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경전(경희대 경영학과) 교수는 “기술을 100% 이해하고 있더라도 실제 적용됐을 때 예상치 못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비트코인이 마약자금으로 흘러들어 가거나 탈세 등에 악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블록체인이 오픈소스여서 이 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오픈소스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해당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일종의 프로그래밍 ‘설계지도’인 소스코드를 무료로 공개하는 것이다. 백승은 컨설팅 위원은 “블록체인 기술은 그 자체로 완벽하게 신뢰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소스가 개방되어 있어 집단지성을 더 쉽게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컴퓨터 운영체제인 리눅스(linux)의 경우, 처음부터 모든 소스코드를 무료로 공개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프로그램 개발자 집단을 형성했고, 형성된 집단은 리눅스 운영체제를 자발적으로 업그레이드시켰다. 그 결과 리눅스는 윈도우 등의 다른 운영체제보다 보안성이 높아졌으며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

  인호(정보대 컴퓨터학과) 교수는 “블록체인은 안전하게 가치를 전달하는 프로토콜(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로써 인터넷에 새로운 축을 형성하고 있다”며 “기술적인 부분의 연구와 더불어 법적, 제도적 체계에 대한 논의도 빠른 시일 내에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