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고대신문을 즐겨 읽는 학생이다. 신문에서 다루려는 기사의 대상이나 그 내용의 깊이 면에서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이미 대학신문의 수준을 넘어서고 있는 고대신문을 만드시는 분들의 노고를 우선 격려하고 싶다.

지난 1468호 주제탐구면의  ‘위도와 부안을 찾아서’ 라는 기획기사를 흥미 있게 읽었다. 사건의 성격이 지닌 중요성이나 전체적인 기획의 방향, 그리고 세 개의 기사가 맞물리는 구성과 문제제기 방식에서 뛰어난 이 기사는 다시 한번 위도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할 기회를 갖게 해 주었다.

하지만, 이미 주민투표 실시가 결정된 부안사태에 대해 ‘갈등’의 성격을 부각시키는 것은 시의성이 떨어진다고 본다. 부제인 ‘섬을 둘러싸고 반목과 갈등이 흐른다’ 가 보여주듯 정부정책의 혼선과 일관성 부재로 인한 주민들 간, 혹은 부안 주민과 정부와의 갈등은 뉴스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성 언론사에서 이번 사건을 다루는 방식이다. 따라서 고대신문은 대안언론으로서 조금 다른 접근이 필요하지 않았나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OECD국가 중 원자력 시설을 건설 중이거나 향후 건설계획을 가지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이웃 일본뿐이라 한다. 고대신문에서도 지적했듯 프랑스와 같은 유럽국가에서는 포기한 정책임에도 왜 우리는 전체 전력생산의 40%를 원자력에 의존해야하는지에 대한 이유과 만약 그것이 불가피하다면 문제의 해결방향이 어떠해야하는지에 대한 대안제시가 부족했다.

사회에서 나타나는 갈등은 중요한 가치와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식으로서의 타협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징표이고, 타협의 결과는 우리사회가 발전해가는 방향을 제시해준다. 이 때문에 그 갈등이 심각할수록 관련된 문제의 성격이 구성원들에 더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이다.따라서  ‘갈등’이라는 표상적인 현상에만 집착하지 않고, 결국 그것의 다른 이름인 ‘타협’의 방식을 모색하는 것이 발전적인 언론상(像)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김경석(정경대 신방98)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