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코로나 유행으로 대학가는 큰 혼란을 겪었다. 아직은 전자패드보다 칠판이 익숙한 나 역시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온라인 수업에 적응하느라 애를 먹었던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오프라인 강의에서 몸소 느낄 수 있었던 학생들의 수업 분위기를 쉽게 느끼기 어려웠다는 점과 (오프라인 강의와 비교해) 글을 주된 소통의 도구로 활용하면서 오는 불편함이 생각보다 크게 느껴졌다.

  그러던 와중에, 문뜩,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어쩌면 익숙하지 않음에서 오는 불편을 내가 너무 크게 포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조금 다른 관점에서 작금의 상황을 바라보면, 온라인 강의가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장점도 꽤 많았다. 무엇보다 온라인 강의는 교수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 거리를 좁혔다. 우리는 모두 물리적으로 같은 공간에 없을 뿐이지, 꽤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를 바라보며 그들의 표정과 제스처를 쉽게 읽을 수 있게 되었다(오프라인에서는 쉽게 보기 어려운 풍경이지 않은가!). 또한, 시공간의 제약이 자연스레 풀림으로써 수업 중에 쉽게 입을 떼지 못하던 학생도 더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토론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어쩌면 불가피하게 시작된 전면 온라인 강의가 교수와 학생 간의 소통에 있어 새로운 장을 열어주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여기에서 우리 모두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올바른 소통 예절이다. 온라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지켜야 할 기본적인 에티켓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도록 하겠다. 다만, 한가지, ‘온라인이 갖는 고유한 특성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오프라인과 달리 온라인에서는 내가 하는 모든 이야기와 행동이 휘발(揮發)되지 않는다. 온라인 강의 역시 모든 내용이 어디엔가 저장 되고,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삽시간에 널리 퍼질 수도 있다. 따라서 교수와 학생 모두 소통에 있어 더욱 신중한 언사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강의가 새로운 표준이 되어가는 시대라고 해서 특별히 새로운 소통 예절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는 모두 교수와 학생이기 이전에 하나의 인격체다. 그에 걸맞게 항상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온라인 강의 시대에 모두 웃으며 소통할 수 있는 첩경이 아닐까?

장훈(글로벌대 융합경영학부) 교수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