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동철 정경대 교수·행정학과

  최근 코로나 이후 대학교육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부는 일반 대학에서도 100% 온라인 수업이 가능하도록 고등교육법을 개정했으며, 코로나 이후 고등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대학총장을 포함한 사회 각 층과의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고려대도 넥스트노멀 위원회와 대학혁신 지원 사업단을 구성해 코로나 이후 대학교육의 변화를 논의하고 교육혁신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즉, 대학 안팎에서 AI와 정보통신기술이 고등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로 촉발된 온라인 교육은 우리 대학의 교육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초기에는 수업과 평가 그리고 상담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혼란이 있었지만, 이제 비대면 수업은 어느덧 우리의 일상이 되어 가고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경험은 부모님이 내 온라인 수업을 참관하셨던 일이다. 은퇴하시고 여러 유튜브 강의를 들으시던 아버지는 “온라인인데 네 강의나 한번 들어보자”며 청강을 요구하셨다. 나는 아버지와 몇 번이라도 시간을 보낼 수 있으면 좋겠다 싶어 강의 링크를 보내드렸다. 한 번도 수업을 빼지 않고 수업에 열정을 보이시는 아버지를 보면서, 온라인 교육을 통한 고등교육의 확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대학교육의 가능성을 상상하기도 했다. 만약 학생들이 장소의 제 한을 받지 않고 강의를 듣는다면, 굳이 출신 학교에 구애받지 않고 듣고 싶은 수업을 자유롭게 들을 수 있지 않을까? 혼자서 한 과목의 모든 분야를 가르치지 말고, 각기 전문분야가 비슷한 다른 학교 교수님들과 함께 강의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 강의를 진행하면 어떨까? 만일 온라인 수업이 일상이 되어 학생들이 강의 때문에 교실에 모일 필요가 없다면, 이 공간들은 온전히 학생들의 실험이나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아마도 이러한 상상은 필자뿐만이 아니라, 현재 대학에 온라인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이나 교수라면 한 번 쯤은 해보았을 것이다. 이러한 개인의 경험이나 상상의 공유가 혁신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최근 대학혁신을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대학본부의 노력은 주목할 만하다.

  새로운 대학교육의 가능성을 보다 자유롭게 토론하고 온전히 실험하기 위해서 정부는 개혁의 방향과 배치되는 대학에 대한 규제들은 과감히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여전히 우리의 대학은 전통적 대면수업 방식의 규제 하에 묶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학은 열린 학교의 가능성을 논의하면서도 출석을 강제하라고 강요받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자율적인 학습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야 한다고 제안하면서도 평가중심의 수업체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지식을 독점하고 있는 교수자가 특정 대학의 학생들에게만 교육을 배타적으로 제공하는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적합할지 몰라도, 지식의 공유와 자율성에 기반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논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보다 나은 대학을 만들려는 노력이 담론을 넘어서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대학의 변화를 막고 있는 제도적, 물리적 한계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해나가려는 노력이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대학본부는 1~2년 내에 우리에게 요구되는 변화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 종식 후 예전의 강의실로 다시 돌아가는 것인지, 아니면 온라인을 통한 강의가 계속 허용될 것인지를 우리는 아직 정확히 알지 못한다. 또한 온라인 강의가 계속 허용된다면, 온라인 수업이 비용절감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강의의 질을 낮추는 결과가 나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어떻게 새롭게 시도되는 강의를 지원하고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는 학생들의 요구와 교수자의 실험이 중심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