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차 유행과 함께 견디는 이번 여름은 유난히도 뜨겁다. 한반도에선 남부 지방에 집중폭우가 내린 것 외에는 마른장마로 끝나고, 불볕더위 속에 7월을 보내고 있다. 연일 폭염특보가 이어지는 상황. 기상 전문가들도 기존의 한반도 여름의 풍경은 사라졌다고 이야기한다.

   한반도 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기후위기의 재앙을 맞닥뜨리는 중이다. 지난 6월 미태평양 북서부와 캐나다는 역사상 최고의 폭염이 있었고, 최근에는 산불로 뉴욕시 하늘까지 매캐하게 연기가 차오르고 있다. 독일과 벨기에 등 유럽지역에선 2개월치 비가 이틀만에 쏟아지는 1000년만의 대홍수 사태가 벌어졌다. 최근 중국 정저우 지역에 는 하루에 1년치 비가 쏟아져 도시 전체가 물바다가 되었다. 러시아의 타이가 숲이 타 들어가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아내리고 있다. SNS를 타고 전해지는 세계 곳곳의 기후재앙 상황은 종말론적인 미래상에 가까워 보일 지경이다.

   이 모든 현상이 기후위기의 결과라는 것을 알지만, 지구촌은 찾아놓은 해법마저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오는 11월에 영국에서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COP26)가 열리고, 여기에서 각국이 2030 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얼마나 적극적인 방안을 내놓을 지는 미지수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연말에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그럼에도 대한민국은 2019년 기준 탄소배출량이 세계 9위, 개인별 배출량 세계 4위로 ‘기후악당국가’ 수준이다. 얼마전 유럽연합(EU)이 수입품에 탄소 가격을 부과하는 ‘탄소국경세’ 도입 계획을 발표하자, 국내에선 산업경쟁력 걱정이 우선이었지, 기후위기는 관심사가 되지 못했다.

   기후변화는 이제 미래의 일이 아닌 현재의 사건이다. 아직도 성장위주의 산업국가 모델을 유지하는 대한민국에선 개혁하고 폐기해야 할 것이 너무나 많다. 산업구조 뿐만 아니라 제도적법률적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들을 신속히 입안하고 실행해야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에 앞서 개인 생활과 철학에서 기후위기를 상수로 놓고, 어쩌면 고통스러운 삶을 개개인이 받아 들여야 한다. 그게 이 뜨거운 여름을 맞닥 뜨리면서 꼭 고민해야 할 주제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