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우림은 한국 록 음악계에서 드물게도 여성 프론트맨 시스템으로 롱런 중인 밴드이다. 김윤아의 주도로 이루어진 송라이팅은 그들의 1997년 히트곡 『헤이 헤이 헤이』로부터 지금까지 줄곧 이어져오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모던록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멜로디라인과 감각적인 수사법을 동반한 가사로 큰 인기를 얻어냈다. 폭넓은 지지보다는 특별한 마니아들을 많이 만들어냈고, 많은 매체들로부터 큰 음악적인 인정을 받은 바 있다. 그들이 이제 4번째 앨범을 발표했다.

첫 번째 트랙 『#1』이 시작되자마자 그들의 변모를 느낄 수 있었다. 포크적인 분위기의 드라이한 사운드. 그리고 본격적인 영문 가사는 그들이 생각하고 있는 음악적 지향점을 쉽게 짐작할 수 있게 했다. 소위 ‘가요’라는 범주 내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몸짓. 방송 중심적이고 엔터테인먼트 중심적인 ‘가요’의 필드로부터 완벽하게 탈출하기 위한 시도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스타일리스트가 부재한 현재 한국 대중음악의 다양성을 확보시켜주는 느낌의 트랙인 것이다. 하지만 두 번째 트랙 『우리를 위해 기도해 주세요』에서는 일본의 뛰어난 인디 밴드 「이고 라핑」의 이미지를 그대로 차용한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들의 수많은 넘버들, 특히 『관능표류』와 같은 넘버와 동일한 편곡의 구조를 지닌 것은 너무나 아쉬운 일이다. 사실 한 곡의 이미지를 카피한다는 것은 그렇게 죄악시되어야 할 것이 아니다. 멜로디나 아이디어를 그대로 가져오는 ‘표절’이 아니라면 오히려 발전적인 작업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만약 자우림이 「이고 라핑」의 영향으로 이번 작업을 시작했다면, 그들의 이미지를 카피하는 수준에서 멈춰서선 안 된다. 그들은 『관능표류』의 이미지를 가져오는데는 성공했지만, 자신들의 것으로 만드는데는 실패했다.

최근엔 ‘포지셔닝에 대한 올바른 관점’에 대해 고민하는 뮤지션들이 많아졌다. 적어도 ‘대중적으로 직접 어필할 수 있는 음악’을 죄악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중과의 ‘타협’을 꾀하는 대중추수주의적인 음악을 만든다는 것은 아주 치사한 일이다. 이 두 가지의 경계선 사이에서 자신들의 포지션을 찾아내는 작업은 너무나 어려운 일일지도 모른다. 자우림은 그러한 고민을 너무나 많이 한 모양이다. 그들의 ‘프로모션 트랙’인 7번 『팬이야』는 오히려 그 다음 트랙인 『르샤마지끄』 보다도 훨씬 덜 대중적이다. 대중들의 취향에 ‘덤비는’ 것이 아니라 대중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자리한 곳으로 다가오게 하는 전법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멀리 떨어질 필요는 없지 않은가. 그들의 염세를 이해한다. 하지만 그들의 화려한 초호화 양장 사진집을 겸한 앨범의 겉모양과는 너무나도 괴리되어 있는 가사들이 아닌가. 그것이 의도된 것이라고 반박한다면 100% 수긍하겠지만 말이다.

잘 만든 앨범이지만 아쉬움도 많다. 『르샤마지끄』는 일본 여성 싱어송라이터 유카리 후레쉬의 음악에서 일렉트로니카를 배제한 것 같은 느낌의 넘버이고, 이선규가 작곡하고 심지어 보컬까지 맡은 『수사반장』과 같은 곡은 시도가 나쁘지는 않았지만 ‘좀 안 그래줬으면’ 하는 생각이 들 정도. 김윤아의 리더쉽을 지키는 것만이 ‘자우림’의 온전한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자우림은 적어도 백화점 록을 추구하진 않을 것이 아닌가.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