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출판계는 8·15 해방 후 자유를 되찾게 되지만, 미군정이 집권하면서 공산계열의 출판물에 금지령이 떨어졌다. 이는 1946년에 조선인민당 선전부가 인민당의 노선을 알리기 위해 쓴 『인민당의 노선』, 좌익계 지도자의 인물 평전인 『지도자 군상』 등이 금서목록에 오른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뒤, 이승만 정부는 규제의 강도를 한층 더 높였다. 이전에는 공산주의 계열 출판물에 한정되던 규제 범위가 공산국가 출신이거나 월북한 작가의 작품, 정치적 중립화를 담은 학술논문이나 저작물 등으로 확장된다. 이 시대에 정부의 반공정책의 강화로 출판인들이 이데올로기성 출판물을 발간하지 않아 막상 금서로 지정될만한 책은 없었다.

4·19 혁명 이후 등장한 장면 정부는 출판에 대한 통제를 없앤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5·16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 정권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출판계는 다시 수난을 겪게 된다. 이 시기에는 이승만 정권 시대와 같은 양상으로 출판물에 대한 견제가 있었으며, 김상협 본교 前총장의 『모택동 사상』이나 김준엽 본교 前총장, 김창순이 공저한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가  그 시대 금서의 예다.

유신시대 또한 공산주의 관계 도서는 물론 폭력을 정당화하는 유해 도서라는 명목으로 라틴아메리카나 혁명 이론서나 마르쿠제 등의 네오마르크시즘 관계 서적, 반체제·반정부적 사회 비판 서적, 음란 서적 등에 규제가 계속됐다. 전두환, 노태우 정권 아래에서도 앞의 시대와 같은 맥락으로 저작물 탄압이 있었는데, 특히 제5공화국 당시의 금서가 해방 이후의 금서 목록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문민정부 이후 규제가 약해져 지금은 음란 서적의 경우만 ‘심의’의 형태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한편, 세계 금서의 사례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대략 금서로 지정되는 이유는 해당 국가의 체제에 반하는 정치 관계 서적, 종교적인 이단 서적, 고발 혹은 폭로문학인 경우나 법률 혹은 저작권 위반, 음란 외설로 문제가 됐을 때 등이다. 이 중 과학분야의 학설이 성서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교회의 탄압을 받은 예는 세계 금서 역사에 있어 따로 분류되기도 한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